- 공인회계사, 세무사 - 고려대학교 및 동 대학원 경영학과 졸업 (회계학전공 : 경영학석사) - 서울시립대학교 세무대학원 박사과정 졸업 (조세법전공 : 세무학박사) - 세동회계법인, 신한회계법인, 한국공인회계사회 회계감사감리위원회 근무 - 한국조세연구포럼, 한국세법학회, 한국세무학회 회원
개설(수정)일
2025-03-24
강좌개요
출발의 평등이 그 어느 때보다도 사회 전반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요즈음, 공평의 가치를 이루어 내는 수단으로서 조세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부의 무상이전에 대해 매기는 상속세와 증여세는 부의 집중과 세습을 완화하기 위한 최소한의 수단이 된다는 점에서 사회정책적 의미가 있다. 이에 이번 강의에서는 ?상속세 및 증여세법?을 큰 틀에서 개론적으로 이해하면서, 중요한 조문 및 쟁점과 해석원칙 그리고 개정사항을 함께 살펴보고자한다.
[강의 목차]
1차시 <상속세> - 제1장 상속 및 상속세에 관한 기본개념 - 제2장 상속세 납세의무 - 제3장 상속세 계산(상속세 과세대상 재산~배우자 상속공제)
2차시 - 제3장 상속세 계산(그 밖의 인적공제~상속세액의 계산) - 제4장 상속세 신고 및 납부 - 제5장 상속세 부과 및 징수 <증여세> - 제1장 증여 및 증여세에 대한 기본개념 - 제2장 증여세 납세의무 - 제3장 증여세 계산(증여세 과세대상 재산)
3차시 - 제3장 증여세 계산(증여재산 반환 혹은 재증여~증여세액의 계산) - 제4장 증여세 신고 및 납부 - 제5장 증여세 부과 및 징수
4차시 - 재산의 평가
채현석 | 4시간
기본정보
구분
선택(세무>상속세 및 증여세)
이수시간4시간
강사명
채현석
개설(수정일)2025-03-24
과정소개
출발의 평등이 그 어느 때보다도 사회 전반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요즈음, 공평의 가치를 이루어 내는 수단으로서 조세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부의 무상이전에 대해 매기는 상속세와 증여세는 부의 집중과 세습을 완화하기 위한 최소한의 수단이 된다는 점에서 사회정책적 의미가 있다. 이에 이번 강의에서는 ?상속세 및 증여세법?을 큰 틀에서 개론적으로 이해하면서, 중요한 조문 및 쟁점과 해석원칙 그리고 개정사항을 함께 살펴보고자한다.
[강의 목차]
1차시 <상속세> - 제1장 상속 및 상속세에 관한 기본개념 - 제2장 상속세 납세의무 - 제3장 상속세 계산(상속세 과세대상 재산~배우자 상속공제)
2차시 - 제3장 상속세 계산(그 밖의 인적공제~상속세액의 계산) - 제4장 상속세 신고 및 납부 - 제5장 상속세 부과 및 징수 <증여세> - 제1장 증여 및 증여세에 대한 기본개념 - 제2장 증여세 납세의무 - 제3장 증여세 계산(증여세 과세대상 재산)
3차시 - 제3장 증여세 계산(증여재산 반환 혹은 재증여~증여세액의 계산) - 제4장 증여세 신고 및 납부 - 제5장 증여세 부과 및 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