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기자본수익률

1) 자기자본수익률 분석

  • 매출액순이익률과 자산회전율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음. 즉, 매출액순이익률이 낮은 기업은 자산회전율이 높고, 반대로 매출액순이익률이 높은 기업은 자산회전율이 높음.
  • 낮은 매출액순이익률과 높은 자산회전율은 흔히 박리다매전략(저원가전략)이라고 표현할 수 있음.
  • 높은 매출액순이익률과 낮은 자산회전율은 집중화전략 또는 차별화전략이라고 표현할 수 있음.
  • 따라서 높은 매출액순이익률이 낮은 매출액순이익률보다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며, 매출액순이익률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많은 투자를 하고 있기 때문임.
  • 매출액순이익률과 자산회전율이 모두 높은 기업이 가장 이상적이라 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끊임없는 경쟁기업의 출현으로 인해 경쟁이 심해져서 두 비율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비율 모두 낮아질 것임.
  • 한편, 매출액순이익률과 자산회전율의 곱은 자산수익률(ROA)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비율은 분모에는 주주와 채권자로부터 조달한 자금이 모두 포함되어 있는 반면에 분자에는 주주들에게 귀속되는 이익만이 있어서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지지 못한 비율이라고 할 수 있음. 최근에는 당기순이익 대신 당기순이익에 이자비용을 가산한 금액이나 영업이익을 사용하여 자산수익률을 계산하는 경향이 있음.